반응형
이번 글은 템플릿 문자열에 관하여 알아보겠다.
이것도 모르고 프로젝트 코드 작성하다가 한참 시간 낭비했다.
템플릿 문자열은 ES6에서 새로 추가된 문자열이다.
이 문자열은 큰 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는 기존 문자열과 다르게 tab키 위의 백틱( ` )으로 감싼다.
특이한 점은 이 문장열 안에 변수를 넣을 수 있다.
비교 예시를 보자
기존의 es5 문법은 아래와 같다.
let num1 = 1;
let num2 = 2;
let result = 3;
let string1 = num1 + " 더하기" + num2 + "는 '" + result + "'";
console.log(string); // 1 더하기 2는 '3'
위의 코드는 변수, 더하기 기호 등으로 가독성이 좋지 않다.
이제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해서 작성해보자.
let num3 = 1;
let num4 = 2;
let result2 = 3;
let string2 = `${num3} 더하기 ${num4}는 '${result2}'`;
console.log(string2);
훨씬 깔끔해진 것을 알 수 있다. 변수는 ${변수}를 사용하여 더하기 기호 없이 문자열에 넣을 수 있다.
템플릿 문자열을 이용하니 문자열이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높아졌다.
진작에 알고 코딩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.
앞으로도 열심히 코딩하자
반응형
'지난 글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객체란? 사용자 정의 객체 만들기 (1) | 2021.01.12 |
---|---|
[react-native] FlatList로 배열 데이터 나타내기 (2) | 2020.11.22 |
[Javascript] var, const, let에 대하여 알아보기 ES6 (1) | 2020.10.19 |
[React] props로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 값 변경하기 (0) | 2020.09.23 |
[HTML5] input 속성 알아보기 (2) | 2020.09.16 |